포스트

파이썬에서 문자열에 공백 추가하기

문제 상황 설명

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, 문자열을 특정 길이로 맞추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. 이런 경우, 문자열 앞이나 뒤, 혹은 양쪽에 공백을 추가하게 됩니다. 예를 들어, "apple"이라는 단어를 10칸에 맞추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이 문제를 파이썬에서 어떻게 해결하는지 알아봅시다.

해결 방법 1: 문자열 메서드 활용하기

파이썬에는 문자열을 다루는 다양한 메서드가 있습니다. 이 중에서 ljust, rjust, center라는 메서드를 사용하면 편리하게 문자열에 공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
  • ljust(width): 문자열을 왼쪽 정렬하고 지정된 width만큼의 길이가 되도록 공백을 추가합니다.
  • rjust(width): 문자열을 오른쪽 정렬하고 지정된 width만큼의 길이가 되도록 공백을 추가합니다.
  • center(width): 문자열을 가운데 정렬하고 지정된 width만큼의 길이가 되도록 공백을 추가합니다.
1
2
3
4
text = "apple"
print(text.ljust(10))  # 'apple     '
print(text.rjust(10))  # '     apple'
print(text.center(10)) # '  apple   '

해결 방법 2: 포매팅 활용하기

파이썬에서는 문자열 포매팅을 이용해서도 문자열에 공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 {} 안에 정렬과 폭에 대한 정보를 지정함으로써 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.

1
2
3
4
text = "apple"
print(f"{text:<10}")  # 왼쪽 정렬
print(f"{text:>10}")  # 오른쪽 정렬
print(f"{text:^10}")  # 가운데 정렬

주의사항

width 값은 전체 길이를 의미하므로, 문자열의 길이가 이미 width보다 크다면 공백을 추가하지 않습니다. 이 점을 고려하여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.

정리

파이썬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문자열에 공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 ljust, rjust, center 메서드를 사용하거나 문자열 포매팅을 활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입니다. 상황과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됩니다.
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