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에서 무한대를 표현하는 방법
파이썬에서 무한대를 표현하는 방법
무한대란 무엇인가?
무한대는 숫자 중에서 가장 큰 값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수학적으로는 어떤 수보다도 큰 값을 의미합니다. 이를 프로그래밍 언어, 특히 파이썬에서 표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무한대를 표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, 이 글에서는 파이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.
파이썬에서의 float
을 이용한 무한대 표현
파이썬에서는 float
자료형을 이용해서 무한대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 float('inf')
또는 float('-inf')
형태로 표현할 수 있으며, 이는 각각 양의 무한대와 음의 무한대를 의미합니다.
1
2
positive_infinity = float('inf')
negative_infinity = float('-inf')
이렇게 표현된 무한대는 숫자와의 연산도 가능합니다. 예를 들어, 무한대에 어떤 숫자를 더하면 결과도 무한대가 됩니다.
1
result = positive_infinity + 1 # 결과는 float('inf')
주의사항: 무한대 연산
무한대를 다룰 때 주의할 점은 무한대끼리의 연산입니다. 무한대 끼리 뺄셈을 하거나 나누게 되면 결과는 ‘Not a Number’(NaN)가 됩니다. 이는 정의할 수 없는 숫자를 의미합니다.
1
nan_result = positive_infinity - positive_infinity # 결과는 float('nan')
ValueError와 무한대
파이썬에서 ValueError
는 일반적으로 잘못된 값을 입력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. 하지만 무한대를 사용할 때는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. 왜냐하면 무한대는 파이썬에서 올바르게 인식되는 특수한 값이기 때문입니다.
결론
파이썬에서 무한대를 표현하는 가장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은 float('inf')
또는 float('-inf')
를 사용하는 것입니다. 무한대는 다양한 계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, 무한대끼리의 연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. 이렇게 해서 파이썬에서 무한대를 어떻게 표현하고 다루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